UNIX/Linux 에서 man 출력을 text 파일로 저장할 때…

gundal님의 글

유닉스/리눅스를 사용하다보면 어떨때는 man 페이지를 저장하고 싶어질 때가 있다. 이럴 때에 유용하게 쓰이는 명령어다. (잊고 있었으면 다시 환기를 위해..)

# man (command_what_you_want) | col -b > file_name

이렇게 만들어 놓은 manual 을 하나 띄워 놓고 작업하면 훨씬 수월함.

Jeremy Andrews의 Richard Stallman 인터뷰.

원문은 http://kerneltrap.org/node/4484
번역은 kldp bbs의 crimsoncream님.

그냥보기 아까워서 긁어왔음.

Richard Stallman founded the GNU Project in 1984, and the Free
Software Foundation in 1985. He also originally authored a number of
well known and highly used development tools, including the GNU
Compiler Collection (GCC), the GNU symbolic debugger (GDB) and GNU
Emacs.

Richard Stallman(이하 RMS)은 1984년에 GNU Project를 1985년에 Free
Software Foundation(이하 FSF)을 출범시켰다. 그는 또한 GNU Compiler
Collection(GCC), the GNU symbolic debugger(GDB)나 GNU Emacs 같은 널리
쓰이는 유명한 개발 툴들의 원작자이다.

To better understand Richard Stallman and the GNU project, I recommend
you begin by reviewing their philosophy page. On it you will find a
wealth of information.

이곳(http://www.gnu.org/philosophy/)을 방문한다면 RMS에 대한 보다 많은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We began this interview via email, but later had to finish by
telephone after Richard Stallman fell and broke his arm. He was kind
enough to speak with me at length, discussing his first contact with
computers, his time in the AI lab, the current state of the GNU Hurd,
his current role in the Free Software Foundation, the problems with
non-free software, and much more. The following words offer much
insight into how we got here, and what challenges we still face.

이 인터뷰는 email을 통해서 시작했으나 RMS가 넘어져서 팔이 부러진
후에는 전화통화를 통해서 이루어졌다. 그는 친절하게도 컴퓨터를 처음
접했을 때, AI lab에서 보낸 시간, GNU Hurd의 현황, FSF에서의 그의 역할,
non-free software가 가진 문제점들, 그 외의 여러가지 주제에 대해서
대화를 나눌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긴 시간을 할애해 주었다. 이어지는
글들은 우리가 어떻게 여기까지 왔으며 무엇을 해결해야하는지 좀 더
풍부한 견해를 보여 줄 것이다.

Continue reading

[SUN] 가끔씩 다음의 에러가…

사용장비는 ultra10, OS 는 solaris10…

가끔씩 화면이 검은색으로 바뀌며,
하얀 글씨로…

Saving System State.
Please Wait…

요런 화면이 나옴.
재부팅 하면 얼마간 사용가능하고 어쩌다 보면 다시 같은 현상 발생

강제로 재부팅하지않으면 몇시간 후에 자동으로 재부팅 됨.

뭔 문제인지 아시는분?

Continue reading

disksuit 주무르기?

disksuit 주무르기?

DiskSuit으로 디스크 묶기…
참고문서: http://www.adminschoice.com/docs/solstice_disksuite.htm

작업환경: Sun EP250, 18GB(OSdisk), 9GB(3개), Solaris9, DiskSuit 4.2.1(solaris8 패키지)

===================================================
# format
Searching for disks…done
AVAILABLE DISK SELECTIONS:
0. c0t0d0
/pci@1f,4000/scsi@3/sd@0,0
1. c0t8d0
/pci@1f,4000/scsi@3/sd@8,0
2. c0t9d0
/pci@1f,4000/scsi@3/sd@9,0
3. c0t10d0
/pci@1f,4000/scsi@3/sd@a,0
===========================================================

1. 9GB디스크의 파티션을 다음과 같이 동일하게 만든다.
(각디스크의 슬라이스 0을 status database가 이용할 것이며, 슬라이스6번을 메타디바이스가 사용할 것이다.)
Current partition table (original):
Total disk cylinders available: 4924 + 2 (reserved cylinders)

Part Tag Flag Cylinders Size Blocks
0 unassigned wm 0 – 5 10.52MB (6/0/0) 21546
1 unassigned wu 0 0 (0/0/0) 0
2 backup wm 0 – 4923 8.43GB (4924/0/0) 17682084
3 unassigned wm 0 0 (0/0/0) 0
4 unassigned wm 0 0 (0/0/0) 0
5 unassigned wm 0 0 (0/0/0) 0
6 unassigned wm 6 – 4923 8.42GB (4918/0/0) 17660538
7 unassigned wm 0 0 (0/0/0) 0
2. State database를 만든다.
#metadb -a -f -c 3 /dev/dsk/c0t8d0s0 /dev/dsk/c0t9d0s0 /dev/dsk/c0t10d0s0

3. meta database를 생성한다.두가지 방법이 있는데, 명령어를 직접 입력하는 방법과, /etc/opt/SUNWmd/를 편집하는 방법이다. 명령어를 입력하여 생성하겠다.

# metainit d0 3 1 /dev/dsk/c0t8d0s6 1 /dev/dsk/c0t9d0s6 1 /dev/dsk/c0t10d0s6

d0 – metadevice name
3 – Total Number of Slices
1 – Number of Slices to be added followed by slice name.

d0: Concat/Stripe is setup

4. 만든 메타디바이스(/dev/md/rdsk/d0)에 화일시스템을 작성한다.
# newfs /dev/md/rdsk/d0
newfs: construct a new file system /dev/md/rdsk/d0: (y/n)? y

5. 마운트한다.
# mount -F ufs /dev/md/dsk/d0 /mnt

6. df -h명령어로 확인해본다.

# df -h
Filesystem size used avail capacity Mounted on
/dev/dsk/c0t0d0s0 1.8G 1.2G 603M 67% /
/proc 0K 0K 0K 0% /proc
mnttab 0K 0K 0K 0% /etc/mnttab
fd 0K 0K 0K 0% /dev/fd
swap 594M 40K 594M 1% /var/run
swap 594M 312K 594M 1% /tmp
/dev/dsk/c0t0d0s7 6.0G 14K 5.9G 1% /export/home
/dev/md/dsk/d0 25G 9K 25G 1% /mnt

여기까지가 concatnated metadb의 구성이었다.(디스크 크기가 달라도 연결할 수 있다)

7. 다음은 9GB 디스크를 하나 더 추가하고, 두개낏 stripe로 묶은다음 미러링을 해 보았다.
하나 더 추가한 디스크도 역시 같은 크기로 파티셔닝을 했다.

먼저, status database에서 디스크를 삭제한다.(비슷한 명령을 세번 내렸다. 한번에 할 줄 몰라서…)
# metadb -d -f /dev/dsk/c0t8d0s0

다시 생성한다.
# metadb -a -f -c 4 /dev/dsk/c0t8d0s0 /dev/dsk/c0t9d0s0 /dev/dsk/c0t10d0s0 /dev/dsk/c0t12d0s0

# metainit d0 1 2 c0t8d0s6 c0t9d0s6 -i 32k
metainit: solaris: d0: unit already set up
이전에 생성한 metadevice가 지워지지 않았다!!!

# metaclear -a
d0: Concat/Stripe is cleared
메타디바이스가 삭제되었다!!!

# metainit d10 1 2 c0t8d0s6 c0t9d0s6 -i 32k
d10: Concat/Stripe is setup
# metainit d11 1 2 c0t10d0s6 c0t12d0s6 -i 32k
d11: Concat/Stripe is setup

d10과 d11 두개의 메타디바이스를 생성했다.

8. 미러 디바이스(d20)의 생성하고 second submirror(d10)을 부착(?)한다.
# metainit d20 -m d11
d20: Mirror is setup

# metattach d20 d10
d20: submirror d10 is attached

9. 화일시스템을 생성하고 마운트한다.
# newfs /dev/md/rdsk/d20
# mount -F ufs /dev/md/dsk/d20 /mnt

# df -h
Filesystem size used avail capacity Mounted on
/dev/dsk/c0t0d0s0 1.8G 1.2G 603M 67% /
/proc 0K 0K 0K 0% /proc
mnttab 0K 0K 0K 0% /etc/mnttab
fd 0K 0K 0K 0% /dev/fd
swap 672M 40K 672M 1% /var/run
swap 672M 0K 672M 0% /tmp
/dev/dsk/c0t0d0s7 6.0G 14K 5.9G 1% /export/home
/dev/md/dsk/d20 17G 9K 16G 1% /mnt

여기서 의문이 생긴다. d20에 데이타를 기록하면, d10에 데이타가 미러(백업)되나?
확인할 방법을 모르겠다. 개념상으로는 미러가 자동으로 되겠지?
# metastat
d20: Mirror
Submirror 0: d11
State: Okay
Submirror 1: d10
State: Resyncing
Resync in progress: 8 % done
Pass: 1
Read option: roundrobin (default)
Write option: parallel (default)
Size: 35317485 blocks

d11: Submirror of d20
State: Okay
Size: 35317485 blocks
Stripe 0: (interlace: 64 blocks)
Device Start Block Dbase State Hot Spare
c0t10d0s6 0 No Okay
c0t12d0s6 0 No Okay
d10: Submirror of d20
State: Resyncing
Size: 35317485 blocks
Stripe 0: (interlace: 64 blocks)
Device Start Block Dbase State Hot Spare
c0t8d0s6 0 No Okay
c0t9d0s6 0 No Okay
10. Raid 5 구성
Raid5 메타디바이스는 최소 3개이상의 슬라이스를 사용한다.
같은 크기의 디스크 슬라이스를 사용해야 한다.
존재하는 화일시스템을 이용면 기존 데이타는 삭제된다.
Raid5 메타디바이스는 concate, stripe, mirror할 수 없다.
기타 여러 주의 사항이 존재한다.
참고: http://docs.sun.com/app/docs/doc/805-5961/6j5kfkm2q?a=view

위에서 작성한 메타디바이스를 삭제한다(다시작성하기 위해서).
# metaclear -a
d20: Mirror is cleared
d11: Concat/Stripe is cleared
d10: Concat/Stripe is cleared

# metainit d10 -r c0t8d0s6 c0t9d0s6 c0t10d0s6 c0t12d0s6
d10: RAID is setup

이시점에서 화일시스템을 생성하려고 했더니 에러가 난다. 이유는(?)

# newfs /dev/md/rdsk/d10
/dev/md/rdsk/d10: Resource temporarily unavailable

재부팅후 상태 확인했더니…

# metastat
d10: RAID
State: Initializing
Initialization in progress: 5% done
Interlace: 32 blocks
Size: 52978023 blocks
Original device:
Size: 52980576 blocks
Device Start Block Dbase State Hot Spare
c0t8d0s6 330 No Initializing
c0t9d0s6 330 No Initializing
c0t10d0s6 330 No Initializing
c0t12d0s6 330 No Initializing

초기화 시간이 상당히 오래 걸린다!!!!!!!!

# metastat
d10: RAID
State: Okay
Interlace: 32 blocks
Size: 52978023 blocks
Original device:
Size: 52980576 blocks
Device Start Block Dbase State Hot Spare
c0t8d0s6 330 No Okay
c0t9d0s6 330 No Okay
c0t10d0s6 330 No Okay
c0t12d0s6 330 No Okay

# newfs /dev/md/rdsk/d10
newfs: construct a new file system /dev/md/rdsk/d10: (y/n)?

화일시스템을 생성하고 마운트하여 사용한다.
# df -h
Filesystem size used avail capacity Mounted on
/dev/dsk/c0t0d0s0 1.8G 1.2G 603M 67% /
/proc 0K 0K 0K 0% /proc
mnttab 0K 0K 0K 0% /etc/mnttab
fd 0K 0K 0K 0% /dev/fd
swap 673M 40K 673M 1% /var/run
swap 673M 0K 673M 0% /tmp
/dev/dsk/c0t0d0s7 6.0G 14K 5.9G 1% /export/home
/dev/md/dsk/d10 25G 9K 25G 1% /mnt

9GB디스크를 4개 붙였는데, 용량이 25GB인 이유는?
Raid level 5의 특성(사용가능한 디스크 크기 = 모든 디스크 슬라이스 크기의 합 – 한개 디스크슬라이스 크기)을 이해하면 된다.

11. Trans meta device의 생성
Trans meta device는 ufs logging을 가능하게 한다. 하나의 logging 디바이스와 마스터 디바이스..
화일시스템의 변화는 logging 디바이스에 기록되고 마스터디바이스에 등록(?)된다.
큰 화일시스템에서 logging 디바이스만을 검사해서 fsck의 수행을 빠르게 한다.
root 파티션은 지원되지 않는다.

Trans meta device는 두가지 경우로 나누어진다.
화일시스템을 언마운트할 수 있는경우와 언마운트할 수 없는경우

먼저, 언마운트할 수 있는경우다.
그래서, /export/home/을 언마운트하겠다.

# metainit d10 -t c0t8d0s6 c0t0d0s7
d10: Trans is setup
# metastat
d10: Trans
State: Okay
Size: 17660538 blocks
Master Device: c0t8d0s6
Logging Device: c0t0d0s7

Master Device Start Block Dbase
c0t8d0s6 0 No

c0t0d0s7: Logging device for d10
State: Okay
Size: 2097152 blocks

Logging Device Start Block Dbase
c0t0d0s7 2050 No

뭔가 되긴 된것 같은데, 어떤 의미인지 자세하게 모르겠다..
한계가 마구 마구 느껴진다!!!
누구 아는사람은 코멘트좀 달아주시길!!!!!!!

미러를 사용하기위한 Trans metadevice도 구성할 수 있다고하는데.
이것역시 개념이 혼동스럽다…..

요부분은 그냥 넘어간다..

12. HotSpare pool
이부분도 역시 어렵다! 그러나 개념을 좀 적어본다면…

HotSpare pool은 submirror나 raid5 메타디바이스가 실패할 경우에 자동으로 대체되도록 디스크슈트가 예약해놓은 슬라이스의 모임(?) 이다. 핫스페어는 미러와 raid5 메타디바이스의 증가된 데이타 availability를 제공한다고 한다.(뭔소리지?)

핫스페어는 메타디바이스일수 없고 반드시 슬라이스여야만 한다.
(그런데, 핫스페어풀에는 메타디바이스가 사용되는것같다. 정말 혼동된다.)

기타 여러특성이 있는데, 개념잡기가 어렵다.. Mmmmmmm….

아무튼, 핫스페어풀을 만들려면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사용한다.

# metainit hsp001 c2t2d0s2 c3t2d0s2
하지만, 슬라이스를 따로 잡아놓지 않았기대문에 말을 들을리가 없을것이다!
그럼, 먼저 디스크들의 슬라이스를 하나씩 더 만들기로 할까? – 아니다.
c0t12d0s6을 핫스페어로 잡기로 했다.

# metainit hsp001 c0t12d0s6
hsp001: Hotspare pool is setup

# metastat
hsp001: 1 hot spare
c0t12d0s6 Available 17660538 blocks

다음에는?
모든 메타디바이스를 이전에 지웠으므로 나머지 9GB 디스크 세개를 Raid5로 묶기로 한다.
# metainit d10 -r c0t8d0s6 c0t9d0s6 c0t10d0s6
d10: RAID is setup

# metastat
d10: RAID
State: Initializing
Initialization in progress: 2% done
Interlace: 32 blocks
Size: 35317485 blocks
Original device:
Size: 35320384 blocks
Device Start Block Dbase State Hot Spare
c0t8d0s6 330 No Initializing
c0t9d0s6 330 No Initializing
c0t10d0s6 330 No Initializing

hsp001: 1 hot spare
c0t12d0s6 Available 17660538 blocks

역시 꽤 오랜시간이 걸린다.

마지막으로 Raid5 메타디바이스를 핫스페어풀에 연결시키면 끝난다.
(정말로? – 핫스페어의 역할에 대해 쉽고 자세하게 설명해주실분은 댓글을 달아주시기 바란다.)

# metaparam -h hsp001 d10

# metastat
d10: RAID
State: Initializing
Initialization in progress: 10% done
Hot spare pool: hsp001
Interlace: 32 blocks
Size: 35317485 blocks
Original device:
Size: 35320384 blocks
Device Start Block Dbase State Hot Spare
c0t8d0s6 330 No Initializing
c0t9d0s6 330 No Initializing
c0t10d0s6 330 No Initializing

hsp001: 1 hot spare
c0t12d0s6 Available 17660538 blocks

13. DiskSet
diskset은 한 호스트의 장애 발생에 대비해 하나 또는 두개의 호스트가 디스크슈트 오브젝트를 공유하도록 하는 것이다.
디스크셋을 사용하려면 각 호스트에 disksuit이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이것도 여기까지.. 한대 더 작업하려면 꽤 많은 시간이 걸릴듯 하므로…..
그냥 문서나 한번 읽어본다.

solaris7 에러…

$ vi edu_pa.jsp
ld.so.1: vi: 치명적: 재할당 오류: 파일 vi: 기호 cur_term: 참조 기호가 없습니다.
중단됨(Killed)

LD_LIBRARY_PATH와 관련된 에러로 추정됨.

솔루션은 다음과 같이 하면 되려나?
내 소유 장비가 아니어서 확인은 못해본다.
Date: Fri, 23 Jan 2004 07:07:21 +0000

Neil W Rickert wrote:
> Beardy writes:
>
>>Neil W Rickert wrote:
>>
>>>thota_2001@yahoo.com (Srikanth Thota) writes:
>
>
>>>>I have Solaris 8 with OEM on My Sun Machine. Recently i Installed
>>>>Oracle 8i on Solaris. After that when I try to open any file with vi
>>>>option I am getting following error message.
>
>
>>>>ld.so.1: vi: fatal: relocation error: file vi: symbol cur_term:
>>>>referenced symbol not found Killed.
>
>
>>>Maybe try
>
>
>>> unset LD_LIBRARY_PATH
>
>
>>>or, if you use csh/tcsh
>
>
>>> unsetenv LD_LIBRARY_PATH
>
>
>
>>ldd on /usr/bin/vi reports a number of full paths to shared object
>>libraries, and AFAIK LD_LIBRARY_PATH cannot affect this. Maybe
>>crle-related stuff.
>
>
> I think you are mistaken:
>
> % ldd /bin/vi
> libmapmalloc.so.1 => /usr/lib/libmapmalloc.so.1
> libcurses.so.1 => /usr/lib/libcurses.so.1
> libcrypt_i.so.1 => /usr/lib/libcrypt_i.so.1
> libgen.so.1 => /usr/lib/libgen.so.1
> libc.so.1 => /usr/lib/libc.so.1
> libdl.so.1 => /usr/lib/libdl.so.1
> /usr/platform/SUNW,Ultra-250/lib/libc_psr.so.1
>
> % setenv LD_LIBRARY_PATH /net/mp/usr/lib
>
> % ldd /bin/vi
> libmapmalloc.so.1 => /net/mp/usr/lib/libmapmalloc.so.1
> libcurses.so.1 => /net/mp/usr/lib/libcurses.so.1
> libcrypt_i.so.1 => /net/mp/usr/lib/libcrypt_i.so.1
> libgen.so.1 => /net/mp/usr/lib/libgen.so.1
> libc.so.1 => /net/mp/usr/lib/libc.so.1
> libdl.so.1 => /net/mp/usr/lib/libdl.so.1
> /usr/platform/SUNW,Ultra-250/lib/libc_psr.so.1
>
> As you can see, the path to all but one library changed.
>
> [From the fact that ldd lists the path to the library, it does not
> follow that the full path is saved in the binary]
>

Yup. I stand squarely in your shadow Neil.

원문은 아래에…
http://unix.derkeiler.com/Newsgroups/comp.unix.solaris/2004-01/1908.html

Sun Blade1000

blade1000-thumb.jpg

Sun blade1000을 뜯었을때, 그동안 익숙했던 장비와 달라서 당황했었다.
아는분한테 전화해서 이것 저것 물어봤는데, 나중에 알고보니 설명서만 잘 봤더라면 하는 후회를 잠깐 했다.
뚜껑을 열고 보면, 안쪽에 설명서가 들어 있다.
CPU는 녹색부분을 렌치(하드디스크 위에 초록새 플라스틱으로 잘 감추어져 있다)로 열면 된다. 설명서에 모두 친절하게 나와 있다.

벌써 팔아버렸지만, 기념으로 사진 한장!

디스크 안전하게 덤프 backup

디스크덤프 방법
예)
디스크 원본 /dev/rdsk/c0t0d0s7 을 /dev/rdsk/c0t1d0s7로 옮길때
두 디스크가 모두 마운트되어 있는게 좋다.

/mnt: /dev/rdsk/c0t0d0s7 (원본)
/mnt1: /dev/rdsk/c0t1d0s7 (사본)일 경우

먼저 사본(내용이 없는 디스크슬라이스)으로 cd하여 옮김.
# ufsdump 0f – /dev/rdsk/c0t0d0s7 | (cd /mnt1; ufsrestore -rf -)

만일 O/S디스크를 덤프할 경우에는 CD-ROM부팅으로 /a 와 /mnt로 마운트하여 dump하는 것이 원칙이다.

만일 O/S디스크를 덤프했을 경우에는 boot block을 심어줘야 한다.
즉, 원본 디스크 또는 CD-Rom 내의
/usr/platform/sun4u/lib/fs/ufs/bootblk를 다음 명령으로 심어준다.

# installboot /usr/platform/sun4u/lib/fs/ufs/bootblk /dev/rdsk/[사본 disk slice]해주면 끝.

Apache2에서 필요한 모듈 컴파일하기.

MovableType은 perl스크립트로 만들어져 있다.
설치해보고 사용하는데는 많은(?) 시간이 걸렸다. 이유는 내가 예전에 컴파일했던 apache2에 펄스크립트나 cgi를 사용할 수 있는 모듈을 추가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때문에 프로그램을 바꾸거나 써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지만, 실제로 바꾸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걸렸다.
아마도 귀찮음 때문이었을 것이다.

지금부터, apxs를 이용해서 mod_perl을 컴파일했던 방법을 기록하려고 한다.(solaris 9)

먼저, 필요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는다.(mod_perl)

CFLAG를 비롯해서 PATH, LDLIBRARYPATH등을 설정한다.

/var/tmp/에 mod_perl을 풀고, 디렉토리를 이동.

/usr/local/bin/perl Makefile.PL MP_INST_APACHE2=1 MP_APXS=/usr/local/apache2/bin/apxs

주의할점은 solaris에 들어있는 /usr/bin/perl을 사용하면 문제가 생긴다는것이다. gcc로 컴파일한 것이 아니므로.

make; make install;

이후 httpd.conf를 수정한다.

LoadModule perl_module modules/mod_perl.so

AddHandler cgi-script .cgi .pl

아래는 꼭 필요한것인지는 모르겠다.
perl스크립트에 관심이 없었으므로, 거의 초보나 마찬가지상태!
Alias /perl/ /export/home/apache2/cgi-bin/

SetHandler perl-script
PerlResponseHandler ModPerl::Registry
PerlOptions +ParseHeaders
Options +ExecCGI
이렇게하면 지정된 디렉토리(/export/home/apache2/cgi-bin/) 내에서 펄스크립트는 잘 작동된다.

문제는 일반 사용자들의 public_html디렉토리 내에서 perl스크립트 사용을 가능하게 해줘야하는 부분이다. 이 문제 해결에 많은 시간이 걸렸지만, 추가해주어야 할 내용은 몇줄 뿐이다.
AllowOverride None
Options ExecCGI
AddHandler cgi-script .pl .cgi
Order allow,deny
Allow from all
이것으로 apache2에서 perl스크립트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해야할 것은 아파치데몬을 재실행 하는것뿐이다.

Sun Box의 호스트 아이디 바꾸기2

Solaris에서 동작하는 특정 소프트웨어들, 예를 들면 수호신같은 방화벽은 호스트 아이디를 가지고 라이센스 키를 생성한다. 그런데, PROM이 고장나서 교체하면 기존의 호스트 아이디가 바뀌어버리고, 당연히 프로그램도 작동되지 않는다. 라이센스키를 다시 받아서 설정하면 되겠지만 당연히 귀찮다.

이럴때 이전의 호스트 아이디를 알고 있으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호스트아이디를 바꿀수 있다.

참 간단하지 않은가!

Let’s assume the MAC address you want to program is 8:0:20:aa:bb:cc and the hostid is 80aabbcc. Note: MAC and hostid don’t have to correspond.

at the ok prompt:

ok> 0 0 mkp
ok> 8 0 20 aa bb cc 80aabbcc mkpl
ok> ^d ^r (control+d, control+r)

(if 0 0 mkp fails, try 1 1 mkp, or 2 2 mkp)

Cracking?

오늘 아침 sun box에서 발생한 이상한 메시지

INIT: Command is respawing to rapidly, check possible errors
id: sv “/usr/bin/srload -D -q”

누군가가 /etc/inittab에 아래 두줄을 추가 시켜 놓았다.

SV:23:respawn:/usr/bin/srload -D -q
SV:23:respawn:/usr/bin/srload -D -q

음…

누가 무슨짓을 한건지 정말 궁금하다..

Continue reading